시사교양 > 심야스폐셜 기획: 정호식 프로듀서: 정수채 방송 : 매주 (화) 밤 12시 55분
프로그램 소개
미리보기
다시보기
화제의 심야스페셜
시청자 의견
다시보기 : 500원   제휴사 가입을 통한 무료 이용
자유이용권 이용요금안내 고객센터
 
480회  ㅣ  2006-01-10   
다시보기:
조회 :

2006년 1월 10일 / 제 480회

두바퀴가 꿈꾸는 세상

1. 웰빙시대, 자전거를 타는 현대인이 늘어나고 있다. 
7,80년대를 거치면서 점점 수요가 줄어들고 있던 자전거가 다시 되
살아나고 있다.
한 경매사이트에서는 2005년 한해 자전거 판매량이 2004년의 두배
를 넘어서는가 하면
산악자전거, 생활 자전거 동호회등 자전거 관련동호회도 이미 
2004년 대비 세배 이상
늘어났다. 빠르고 편한 것을 선호하는 현대인들, 현대인들이 다시 
자전거를 찾고 있는 
이유는 무었일까?

2. 건강, 주차문제 , 환경 오염까지 일석 삼조의 효과, 자전거 
1) 출근시간 소요실험 
서울에서 자전거가 자동차를 대체하는 효과적인 교통 수단이 될 
수 있을까?
제작진은 출근시간, 똑같은 장소를 자전거와 자동차를 이용해 출
발, 
소요시간을 실험해봤다. 
출근시간, 서울시내에서 자전거는 자동차보다 더 빨리 도착할 수 
있을까?

2) 자전거를 타면 우리 몸은 어떻게 달라지나?
자전거를 타면 우리 몸은 어떻게 달라질까?
우리는 나이대, 성별을 각각 달리해 자전거 동호인들 중 몇 명을 
선발, 
심폐기능과 지구력등 몇가지 검사를 해보았다. 
그들의 신체 나이는 과연 일반 사람들보다 어리게 나올 것인가?

3. 앞서가는 마음, 뒤따라오지 못하는 자전거 정책 
하지만 늘어나는 자전거 인구에 비해 정책은 아직 제자리 걸음이
다. 
우리나라 법률상 자전거는 차로 분류되어 도로를 이용하게 되어있
는 상황, 
때문에 늘 사고의 위험과 접해있다. 뿐만 아니라 중간중간 끊기는 
자전거 도로,
대중교통과 연계되지 못하는 자전거 도로등.. 여러 가지 면에서 우
리나라의 
자전거 정책은 아직 낙후되어 있다.
자전거 이용자 몇 명과 함께 직접 우리나라의 자전거 도로를 달려
보며 
그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4. 유럽, 어떻게 자전거 도시를 만들었는가?
자전거의 수송분담율 30% 이상, 10만 인구에 자전거가 10만대가 
넘는 유럽의 
자전거 도시, 네들란드의 델프트와 독일의 뮌스터.
무엇이 그곳을 자전거 도시로 만들었을까? 체계적인 자전거 이용
계획 수립에서부터
온갖 자전거 이용 편의시설, 그리고 처음부터 자전거를 고려한 도
시계획 수립등
오늘날 유럽도시들이 자전거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알
아본다.
 
MBC
(주)문화방송 대표이사 안형준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267 (121-904) MBC대표전화 02-789-0011
iMBC
(주)아이엠비씨 대표이사 이선태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255 (상암동 문화방송미디어센터 10층)   1:1 고객문의 바로가기   메일 : help@imbccorp.co.kr
사업자등록번호 107-81-78996 통신판매업신고 2014-서울마포-0761 부가통신사업신고 002483호 통신판매업 정보 확인 호스팅 서비스 제공 L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