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은강 (인천 인명여고3) / 경연내용 : 판소리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대목 |
심사위원 |
심사평 |
김소영 |
노정기에서 장단이 불안하였음. |
송재영 |
안정적인 소리운용이 돋보인다. 공력과 발성 모두 우수하나
고음처리가 불안하며 매끄럽지 못 하다. 장단짜임 역시 뛰어난 운용이다. |
안숙선 |
발음이 분명하고 성음에 힘이 있음. 아니리 잘 구사함.
발림 절제 되어 있음. 성음이 탁한 성음 나오는게 흠. 훈련하면 청한 성음이 나올 듯. 박자(장단)도
잘 다루고 있음. 상청이 쉬었음. |
염경애 |
목에 힘이 있고 목 구성이 좋음. 상청에서 약간의
갈라짐이 있으나 차분히 잘해 줌. 성색의 변화를 좀 더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고 상청의
매끄러움을 살렸으면 하는 바람이 있음. |
전인삼 |
성음, 공력 양호. 매우 안정적 소리 운용 돋보이나
벌청 4도 위음의 미세한 b현상. 종지음의 보다 명확한 처리가 아쉬움. 중상청이상의 사나운
발성(악성)도 아쉬움. 후반부의 불안한 시김새 처리(청이 흔들리는) 등 급격히 힘이 떨어짐.
|
조주선 |
사설부침새 정확함. 공력이 다소 미흡하고 배힘이 꽉
차지 못한 듯함. 뒷소리가 장단 배안에서 조금 떨어짐. 상청 낼 때 목을 조금 눌러 씀.
|
최종민 |
기본기를 어느 정도 잘 갖췄다. 발성과 딕션이 무난하다.
발림을 할 수 있게 두팔을 늘어뜨리고 자연스럽게 서서하도록. |
|
2. 심소라 (국립국악고3) / 경연내용 : 판소리 춘향가 중
이별가 대목 |
심사위원 |
심사평 |
김소영 |
너름새(발림)도 좋고 공력이 많은 소리 임. 군더더기
없는 정리가 잘 된 소리. |
송재영 |
성음이 청아하고 공력이 좋다. 대체적이 소리 운용이
능숙하나 끝음 처리 때 호흡조절이 미숙하다. 발성을 좀 더 크고 넓게 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안숙선 |
상하 중성이 고르게 나오며 시김새가 좋음. 소리의
강한 부분을 좀 더 보완 했으면. |
염경애 |
목구성이 좋고 애원성이 있어 계면조로 된 이별가를
잘 소화했음. 소리에 힘이 좀 더 실렸으면 좋겠으며, 하성을 좀 더 키울 필요가 있겠음. |
전인삼 |
성음, 공력 매우 양호. 소리에 따른 발림, 아니리,
표정의 여유로움. 이면의 적적한 표현 등 매우 안정적이고 긴장감 잃지 않는 소리 운용 돋보임.
하행종지 시 과다한 떨림. 부분적으로 아쉬움은 있으나 학생으로서 전반적으로 음악적 표현의
완성도가 높음. |
조주선 |
성음 좋음. 소리할 때와 소리 마치는 장단 사이의
표정유의(소리 할 때의 감정 표현이 장단새에서는 지워짐). 음정이 흔들림(중모리 들어서면서부터
음정 떨어짐). 목을 너무 잡고 소리를 한다. 소리를 쭉 펴서 하는 것 필요. 본인이 사설을
잘 이해하고 사설 이면에 맞는 발림을 생각할 필요가 있음. |
최종민 |
공력 있는 소리다. 전형적 동초제의 연창 방법이다.
앞으로 소리를 좀 펴서 하는 훈련을 할 필요가 있음. |
|
3. 김소희 (국립전통예술고3) / 경연내용 : 판소리 심청가
중 주과포혜 대목 |
심사위원 |
심사평 |
김소영 |
목 성량은 좋으나 청을 너무 높이 내서 상청처리가
전혀 안 되고 있음. 나한테 맞는 청을 선택하여 소리하는 공부에 전력을 더 해주었으면...아쉽습니다. |
송재영 |
뛰어난 성량과 가창력은 좋으나 장단의 완급과 더불어
음정이 불안하다. 특히 고음처리가 불안하며 너무 높게 설정한 음정 때문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음에도
제대로 발휘를 못하는 점이 아쉽다. 그러나 장래의 큰 소리꾼으로 기대된다. |
안숙선 |
목에 힘이 있음. 옹골찬 성음이나 청을 너무 높게
잡지 않았나?(기량을 다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음을 제대로 처리 못했다. 통성으로 질러내는
저력이 있다. 긴 호흡을 많이 훈련했으면... |
염경애 |
상청이 고르지 못하며 태도 면에서 고개를 많이 쳐드는
편임. 장단 한번 틀림. 목이 실하며 목구성이 좋으며 앞으로의 좋은 소리꾼의 자질이 보임. |
전인삼 |
성음 양호하나 전반적이 소리 운용이 청을 잘 못 설정하여
원활하지 못함. (상청구사시 파열음이 나옴. 주과포혜 뒤 창포 도입부 음정 불안. 주과포혜대목
장단 불안. 시김새 구사 시 다수대목 음정 불안 등) 전반적인 소리 운용에 적공 요구됨. |
조주선 |
발음, 음색 좋음. 청을 높게 잡아 상청 힘듦(청을
잡을 때 항상 유의). 사설이면에 맞게 발림 연구해야 할 듯. |
최종민 |
타고난 목소리 좋다. 심청가도 작품성 있는 것 잘
배웠다. 고음처리에 대해 연구하며 연습할 것. |
|